20220330 안식일 중의 안식일 (레위기 16장 23-34절)

오늘 본문은 대속죄일의 정결예식을 마친 후, 후속 절차들이 소개되고 있습니다. 오늘 본문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됩니다. 23-25절은 대제사장에 관한 것, 26절은 아사셀 염소를 광야에 보낸 자에 관한 것, 27-28절은 속죄제 고기를 처리한 제사장에 대한 것. 이렇게 세 가지입니다. 먼저 대제사장에 관한 내용을 봅시다. 속죄일에 모든 정결예식을 끝내고 아사셀 염소를 광야로 내보낸 후, 대제사장은 회막으로 다시 들어갑니다. 그는 세마포 옷을 벗고 목욕을 하였습니다. 참고로 레위기 16장에 쓰인 ‘회막’이란 단어는 지성소와 성소가 있는 성막 본체를 가리키고 있습니다. 그러나 23절에서 사용한 ‘회막’은 지성소와 성소가 있는 성막 본체를 가리킨다고 보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대제사장이 성소 안에서 옷을 벗고 나체로 몸을 씻었을 리 없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의 임재하는 거룩한 성막 안에서 이렇게 하는 것은 불경스러운 일입니다. 또한 성소 안에는 몸을 물로 씻을 만한 기구가 마련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성경학자들은 대속죄일에는 대제사장이 옷을 벗고 몸을 씻을 수 있는 특별한 가림막 공간이 성막 뜰에 임시로 설치되었을 것이라고 예상합니다. 대제사장은 바로 그 공간 안에서 옷을 벗고 물로 온 몸을 씻은 후에 평상시에 입던 대제사장의 옷을 갈아입고 뜰로 나가 대제사장 자신을 위한 번제물과 이스라엘 백성들을 위한 번제물을 제단에 바쳐 죄를 속하였습니다.

속죄제를 다른 말로 하면 ‘정결케 하는 제사’입니다. 앞서 대속죄일의 정결예식을 통해 제사장과 회막과 이스라엘 백성 모두를 정결케 하였습니다. 그리고 나서 제일 먼저 하는 일이 바로 ‘번제’였습니다. 번제는 매일 아침 저녁으로 드리는 제사이며 동시에 하루를 시작하면서 제일 먼저 드리는 제사였습니다. 어떤 분들은 레위기 16장을 읽으며 ‘이미 앞에서 속죄제를 통하여 제사장 자신과 백성을 위한 속죄 예식을 행했음에도 불구하고 어째서 또 번제물을 통해 속죄를 받아야 했는가?’하고 궁금해합니다. 속죄제의 속죄는 하나님의 거룩하신 임재 앞에 나아가기 전 죄로 인해 오염된 인간의 모든 부정함을 씻는 준비인 것에 반하여, 번제를 통한 속죄는 하나님께서 새롭게 해주신 대세장과 이스라엘 백성 그리고 회막의 정결함이 죄로 인해 다시 더럽혀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이는 오늘날 예수 그리스도의 보혈의 은혜로 말미암아 죄사함을 받고 정결함을 얻은 성도들이, 매일 계속해서 드리는 번제와 같이 자신의 삶을 주님께 드리며 정결하게 살아야 함을 보여줍니다.

26절을 보면, 아사셀 염소를 광야에 보낸 자의 경우 진영에 돌아오기 전 정결 의식을 행해야 했습니다. 어떤 이들은 이 사람이 백성의 죄를 담당한 아사셀 염소와 접촉했기에 부정해진 것이라고 해석합니다만, 레위기의 어떤 경우도 예물을 다루는 자들이 예물과 접촉함으로 부정해진 일이 없습니다. 더욱이 아사셀 염소가 백성의 죄를 짊어지고 있기에 부정함을 옮길 수 있다면, 세상 죄를 지고 가신 어린 양 되신 예수 그리스도 역시 부정함을 옮길 수 있다는 결론에 이르게 됩니다. 따라서 아사셀 염소를 끌고 간 자가 염소로부터 부정함이 전해졌다고 해석하는 것은 바르지 않아 보입니다. 오히려 성경 학자들은 레위기 11-15장의 규정들을 보면 부정해진 자들이 진영 밖으로 보내졌던 것을 언급하며, 이 사람 역시 진영 밖에 나갔기에 거룩한 진영에 들어오기 전에 반드시 옷을 빨고 몸을 씻어서 부정함을 제거해야 했던 것으로 봅니다.

마지막으로 27-28절에는 속죄제 고기를 진영 밖으로 가져가서 태운 제사장이 진영 안에 들어오는 절차가 소개되고 있습니다. 본래 이스라엘 백성들의 죄를 정결케 하기 위해 드려진 속죄 제사 때 사용된 예물의 고기는 제사장이 먹을 수 있었으나 이 경우에는 먹을 수 없었습니다. 이 경우에는 제물의 가죽도 제사장이 가질 수 없었습니다. 모두 진영 밖으로 내어다가 불살라야 했습니다. 이 경우에도 역시 아사셀 염소를 보낸 자와 마찬가지로 다시 지영 안으로 들어오기 위해서는 자신의 옷을 빨고 몸을 씻음으로 정결하게 해야 했습니다.

여태까지 레위기 16장이 대속죄일에 대자사장이 해야 할 일을 중심으로 기록했다면, 29절부터는 대속죄일에 이스라엘 백성들이 해야 할 일들을 기술하고 있습니다. 29절 말씀을 보면 이는 ‘영원히 지켜야 할 규례’였습니다. 유대인들은 오늘날에도 대속죄일의 규례를 지키고 있습니다. 2022년도 대속죄일은 10월 4일 저녁에 시작해서 5일 저녁에 끝납니다. 유대인들에게는 아직도 죄를 속하기 위해서 제물을 바쳐야 하는 것이죠. 그러나 오늘날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대속죄일을 지키기 위해 더 이상 제물을 바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십자가에서 죽으신 예수 그리스도의 완벽하신 속죄 사역으로 인해 우리의 모든 죄가 사하여졌기 때문입니다. 29절을 보면, 하나님께서는 대속죄일에는 음식을 먹지도 말고, 일도 하지 말라고 하셨습니다. 이는 대속죄일의 정결예식을 통해서 죄가 사함 받는 일 보다 더 중요한 일이 없기 때문입니다. 생계를 유지하는 일, 심지어 먹음으로 육체의 생명을 유지하는 일보다도 더 중요한 일이 속죄 예식에 참여하는 일이었습니다.

31절을 보면 대속죄일을 ‘안식일 중의 안식일’이라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 날은 하나님의 온전한 속죄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모든 일을 내려놓고 하나님의 은혜만을 바라도록 하셨습니다. 또한 대속죄일의 예식을 통해 죄사함을 받았기에 참된 안식을 누릴 수 있었습니다. 같은 의미로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이미 예수 그리스도의 죄사함의 은혜를 통해서만 참된 의미의 안식을 누릴 수 있게 됩니다.

33절을 봅시다. “(16:33) 지성소를 속죄하며 회막과 제단을 속죄하고 또 제사장들과 백성의 회중을 위하여 속죄할지니” 여기 ‘속죄’라는 표현이 무려 세번이나 반복해서 사용되었습니다. 33절 구절이야말로, 대속죄일에 하는 일을 가장 잘 요약하여 보여주고 있습니다. 제일 먼저 지성소를 속죄하고, 그 다음 회막과 제단을 속죄하며, 그 다음 제사장과 이스라엘 백성의 회중을 속죄합니다. 여기서 속죄한다는 말은 죄를 속하는 것과 죄로 인한 부정함을 졍결케 한다는 의미를 함께 가지고 있습니다.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죄로 말미암아 이 세상 모든 것이 부정하게 되었습니다. 인간 뿐만 아니라, 세상도 죄의 영향력 아래 신음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제 예수 그리스도의 피로 말미암아 온 세상은 죄를 사함 받고 회복되는 구원의 길이 열리게 되었습니다. 이 놀라운 구원의 은혜를 우리에게 주시기 위해, 십자가에 달려 돌아가신 예수 그리스도께 감사와 찬양을 올려드리는 복된 하루 되기를 축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