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1120 요담의 우화와 저주 (사사기 9장 7~21절)

아비멜렉은 이스라엘 왕이 되고자 하는 야심을 품었습니다. 그 일을 위해 그는 자신의 경쟁자가 될 수 있는 이복형제 70명을 무참히 살해했습니다. 기드온의 아들 중 요담만이 아비멜렉의 칼을 피해 무사히 도망쳤습니다. 요담은 세겜 사람의 도움으로 아비멜렉이 왕이 되었다는 소식을 듣게 됩니다. 세겜은 그리심 산 아래 골짜기에 위치해 있습니다. 요담은 그리심 산 꼭대기에 올라갔습니다. 그리고 큰 소리로 외쳐 말했습니다. 요담은 왕을 찾고 있는 나무들의 이야기를 우화로 들려주었습니다. 이 우화의 목적은 아비멜렉과 세겜 사람의 불의를 꾸짖기 위한 것입니다. 아비멜렉이 왕이 되고, 세겜 사람들이 권력을 장악한 이런 상황에서 요담이 아비멜렉과 세겜 사람들의 죄를 고발하는 것은 목숨을 잃을 수 있는 일입니다. 그러나 요담은 용기를 가지고 그의 이복형제들을 살해한 아비멜렉과 세겜 사람들의 죄를 책망했습니다.

요담의 우화를 들여다봅시다. 하루는 나무들이 감람나무를 찾아가 그들의 왕이 되어 달라 요청합니다. 감람나무는 올리브 나무입니다. 이 당시 올리브는 음식, 치료, 제사, 거래 등 다방면으로 사용되어 값어치가 있었습니다. 왕이 될 만한 자격이 있어 보입니다. 그러나 감람나무는 나무들의 왕의 자리에 오르기를 거절합니다. 9절에 감람나무가 말합니다. “(9:9) 감람나무가 그들에게 이르되 나의 기름은 하나님과 사람을 영화롭게 하나니 내가 어찌 그것을 버리고 가서 나무들 위에 요동하리요 한지라” “나무 동지 여러분, 내 기름은 사람과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오. 그런데 내가 어떻게 기름 만드는 일을 그만두고, 다른 나무들을 다스리는 일을 하겠소?” 감람나무는 하나님을 섬기는 일을 왕이 되는 일보다 더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우리 마음이 감람나무 같았으면 좋겠습니다. 이 세상에 부와 명예와 권력을 다 준다 해도 하나님의 영광을 가리는 일이거나, 하나님을 섬기는 데 방해받는 일이라면 단호하게 거절할 줄 아는 믿음이 있기를 축복합니다.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내 자신의 영광을 위해 살아가는 사람들이 아닙니다. 하나님께 충성하고 주의 백성들을 돌보고 섬기며 살아가는 것이야말로 우리들의 맡은 바 본분입니다. 세상과 악인들의 장막에서 왕이 되기보다, 하나님의 장막에서 문지기로 살아가는 것을 기뻐하며 만족하는 삶을 살아가야 합니다. 아비멜렉은 어떠했습니까? 하나님과 사람들을 기쁘게 하는 일에는 관심이 없고, 오직 왕이 되려는 자신의 탐심과 야망을 이루는데 급급했습니다. 요담은 하나님과 백성들을 섬기는 일에는 관심이 없고 그저 사람들 위에서 군림하여 우쭐거리는 왕 노릇 하려고 하는 아비멜렉의 교만함과 어리석음을 고발하고 있는 것입니다.

감람나무가 왕이 되기를 거절하자 나무들은 이번에는 무화과나무를 찾아가서 그들의 왕이 되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오늘날에는 설탕 구하기가 쉽고 지천에 널려 있습니다만, 이 때만 해도 설탕이 없던 시절이라 무화과 열매는 감미료로 사용되었습니다. 무화과의 단맛은 지친 사람들에게 활력소를 불어넣어 주었습니다. 무화과도 왕이 될 자격이 있습니다. 그러나 무화과도 감람나무와 똑같이 나무들의 왕이 되기를 거절했습니다. 그는 자신이 만들어 내는 과실이 가져다 주는 기쁨과 유익을 알고 있습니다. 그 사명을 포기하고 왕좌에 오를 수 없다고 말하며 무화과나무는 정중히 왕의 자리에 오르기를 사양했습니다.

세 번째로 나무들은 포도나무를 찾아갔습니다. 포도주는 팔레스틴 지방의 주요 음료입니다. 제사를 드릴 때도 사용됩니다. 상처를 치료할 때도 사용되었습니다. 포도는 팔레스틴 사람들의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 요소입니다. 포도나무도 충분히 왕이 될 자격이 있습니다. 그러나 포도나무도 왕위에 오르기를 거절합니다. 13절을 봅시다. “(9:13) 포도나무가 그들에게 이르되 하나님과 사람을 기쁘게 하는 나의 새 술을 내가 어찌 버리고 가서 나무들 위에 요동하리요 한지라” 포도나무 역시 앞서 올리브나무와 마찬가지로 자신이 맡은 사명이 하나님과 사람을 섬기며 기쁘게 하는 것인데, 어찌 개인의 욕심을 위하여 그 삶을 포기할 수 있겠느냐고 말하며 왕의 자리에 오르기를 거절했습니다.

오늘 우리가 살아가는 이 세상에도 올리브나무, 무화과나무, 포도나무 같은 그리스도인들이 있습니다. 개인의 영광과 안위를 위해 살아가지 아니하고, 하나님을 섬기며 주님의 백성인 성도들을 섬기기 위해 살아가는 그리스도인들이 있습니다. 교만하지 아니하고 이름도 없이 빛도 없이 아무도 보지 않는 자리에서도 한결 같이 변함없이 겸손한 마음으로 맡은 바 사명을 충실히 감당해내는 분들입니다. 이와 같이 겸손하고 섬김의 본을 보여주시는 분들이야말로 하나님 나라를 섬기는 교회의 리더가 될 충분한 자격이 있는 분들입니다.

그러나 아직 또 하나의 나무가 있습니다. 바로 가시나무입니다. 가시나무는 열매가 없습니다. 단단하지도 않아도 못으로도 쓸 수가 없고, 목재로도 쓸모가 없습니다. 유일한 쓸모가 있다면 아궁이 땔감 밖에는 없습니다. 그 날카로운 가시는 사람들을 찌르고 피해만 줍니다. 오늘 본문에서 가시나무는 아비멜렉을 상징합니다. 나무들이 가시나무에게 가서 우리 위에 왕이 되라고 말하자 가시나무는 15절에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9:15) 가시나무가 나무들에게 이르되 너희가 참으로 내게 기름을 부어 너희 왕을 삼겠거든 와서 내 그늘에 피하라 그리하지 아니하면 불이 가시나무에서 나와서 레바논의 백향목을 사를 것이니라 하였느니라” ‘너희가 정말로 나에게 기름을 부어, 너희의 왕으로 삼으려느냐? 그렇다면, 와서 나의 그늘 아래로 피하여 숨어라. 그렇게 하지 않으면, 이 가시덤불에서 불이 뿜어 나와서 레바논의 백향목을 살라 버릴 것이다.’ 자, 가시나무가 얼마나 허풍쟁이인가 한 번 봅시다. 팔레타인 지역에서 자라는 가시나무에는 태양의 뜨거운 빛을 가릴 만한 그늘을 만들어 줄 넓은 나뭇잎이 없습니다. 가시나무는 그늘을 조성할 능력이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시나무는 나무들에게 자기 그늘 밑에 피하라고 말합니다. 가시나무 밑에 가면 뜨거운 태양의 열기를 식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가시나무의 가시에 찔려 상처투성이가 됩니다. 가시나무는 무능합니다. 또한 이런 자격 없는 가시나무에게 그들의 왕이 되어 달라고 한 나무들도 어리석습니다. 요담은 지금 이 비유를 통해 자격 없고 무능한 아비멜렉과 그를 왕으로 세운 세겜 사람들이 얼마나 어리석은 지 보여주고 있습니다.

15절을 보면 가시나무는 나무들이 그의 그늘에 피하지 않으면 그가 불로 레바논의 백향목을 불사를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 말은 비유입니다. 가시나무가 아비멜렉을 상징한다고 했죠? 아비멜렉은 사람들이 그를 왕으로 만들어주지 않으면 폭력과 살인도 서슴지 않고 저지를 수 있는 인물임을 보여줍니다. 레바논의 백향목은 튼튼하고 부패에 강하고 해충으로 인한 파손을 막아주는 건축용 목재로서 매우 훌륭한 나무입니다. 이처럼 유익한 레바논 백향목을 아무 쓸모도 없는 가시나무가 불태워 버린다고 했습니다. 이는 왕이 될 자격이 없는 아비멜렉이 이스라엘의 지혜롭고 성숙한 방백들이 자신을 왕으로 인정하지 않자, 폭력으로 그들을 진멸하게 될 것을 보여줍니다. 요담의 우화는 아비멜렉은 이스라엘의 왕이 될 만한 사람이 전혀 아니라는 것을 매우 잘 보여줍니다.

이 세상에는 하나님을 섬기고 성도들을 섬기는 일에는 관심이 없고, 권력의 자리에 올라가 사람들 위에서 군림하며 우쭐대는 아비멜렉과 같은 사람들이 있습니다. 요담은 이스라엘이 왕이 되고자 하는 야망과 탐욕에 눈이 멀어 자신의 형들을 죽인 아비멜렉과 그를 도와 왕이 되게 한 세겜 사람 모두 하나님의 심판을 받아 나무가 불에 타듯 하나님의 심판의 불이 그들에게 임할 것이라고 저주했습니다. 그리고 하나님은 요담의 저주는 그대로 성취하셨습니다. 아비멜렉과 세겜 사람들은 비참하게 고통당하고 또 죽었습니다.

자신의 욕심을 채우기 위하여 불의를 위해 살아가는 사람의 끝은 항상 내리막입니다. 하나님은 자신을 대적하고 불의를 향해 가는 자들의 삶에 고통과 비극을 더하십니다. 그러나 반대로 내 욕심을 내려놓고 하나님의 뜻과 말씀에 따라 순종하며 살아가는 사람들, 하나님을 섬기며 그의 공동체인 교회와 성도들을 섬기기 위하여 겸손한 마음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하나님은 놀라운 은혜와 복을 부어 주십니다.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하나님을 위해 살아가는 삶에는 놀라운 상급과 축복이 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세상 그 누구도 그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는 기쁨과 즐거움을 주님을 위해 살아가는 진실하고 의로운 자들에게 베풀어 주십니다. 우리 모두가 요담의 우화에 나오는 올리브나무, 무화과나무, 포도나무처럼 겸손한 마음으로 하나님과 성도들을 섬기는 사명에 헌신하며 살아가는 복된 삶이 되기를 축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