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3:1) 우리가 돌이켜 바산으로 올라가매 바산 왕 옥이 그 모든 백성을 거느리고 나와서 우리를 대적하여 에드레이에서 싸우는지라
(신 3:2) 여호와께서 내게 이르시되 그를 두려워 말라 내가 그와 그 모든 백성과 그 땅을 네 손에 붙였으니 네가 헤스본에 거하던 아모리 족속의 왕 시혼에게 행한 것과 같이 그에게 행할 것이니라 하시고
(신 3:3) 우리 하나님 여호와께서 바산 왕 옥과 그 모든 백성을 우리 손에 붙이시매 우리가 그들을 쳐서 한 사람도 남기지 아니하였느니라
(신 3:4) 그 때에 우리가 그들에게서 빼앗지 아니한 성읍이 하나도 없이 다 빼앗았는데 그 성읍이 육십이니 곧 아르곱 온 지방이요 바산에 있는 옥의 나라이라
(신 3:5) 그 모든 성읍에 높은 성벽이 둘려 있고 문과 빗장이 있어 견고하며 그 외에 성벽 없는 고을이 심히 많았느니라
(신 3:6) 우리가 헤스본 왕 시혼에게 행한 것과 같이 그 성읍들을 진멸하되 각 성읍의 남녀와 유아를 진멸하였으나
(신 3:7) 오직 모든 육축과 그 성읍들에서 탈취한 것은 우리의 소유로 삼았으며
(신 3:8) 그 때에 우리가 요단강 이편 땅을 아르논 골짜기에서부터 헤르몬 산에까지 아모리 족속의 두 왕에게서 취하였으니
(신 3:9) (헤르몬 산을 시돈 사람은 시룐이라 칭하고 아모리 족속은 스닐이라 칭하였느니라)
(신 3:10) 우리의 취한 것은 평원의 모든 성읍과 길르앗 온 땅과 바산의 온 땅 곧 옥의 나라 바산의 성읍 살르가와 에드레이까지니라
(신 3:11) (르바임 족속의 남은 자는 바산 왕 옥뿐이었으며 그의 침상은 철 침상이라 지금 오히려 암몬 족속의 랍바에 있지 아니하냐 그것을 사람의 보통 규빗으로 재면 그 장이 아홉 규빗이요 광이 네 규빗이니라)
어제 새벽에 이어 오늘 본문도 출애굽 2세의 요단 동쪽 지역 정복 이야기가 계속 됩니다. 어제 새벽 우리는 이스라엘 백성이 시혼 왕과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헤스본을 정복하는 이야기를 살펴 보았습니다. 이 사건 이후 이스라엘 백성은 가나안 땅으로 가기 위해 북쪽으로 진군했고, ‘바산’이라 불리는 곳에 이르게 됩니다. 바산은 매우 비옥한 땅으로 가축을 사육하기 좋은 땅이었습니다. 살기 좋은 땅인만큼 치열한 전쟁에서 살아남은 강한 민족이 이 땅에 살고 있었습니다. 이스라엘이 바산 지역에 다다르자, 바산 왕 옥은 모든 군대를 이끌고 포진했습니다. 이처럼 이들이 처음부터 전력으로 이스라엘을 대항하여 진을 친 것은, 이스라엘 백성이 시혼 왕을 무찌르고 헤스본을 정복했다는 소식을 이미 들어 알고 있었기 때문 입니다.
바산이란 또 다른 큰 적을 앞둔 이스라엘 입니다. 전쟁이란 것이 과거에 한 번 승리 했어도, 또 다시 전쟁을 치르려면 겁나기 마련입니다. 이스라엘도 바산과의 전쟁을 앞두고 두려움에 처해 있습니다. 게다가 바산은 높은 성벽을 가지고 있었고, 군사력도 막강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바산 왕과 그의 군대를 두려워 말라고 말씀 하셨습니다. 2절 말씀을 함께 읽겠습니다. “(신 3:2) 여호와께서 내게 이르시되 그를 두려워 말라 내가 그와 그 모든 백성과 그 땅을 네 손에 붙였으니 네가 헤스본에 거하던 아모리 족속의 왕 시혼에게 행한 것과 같이 그에게 행할 것이니라 하시고”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바산 왕 옥과 그의 모든 백성을 이스라엘의 손에 붙이시겠다고 약속해 주셨습니다.
하나님으로부터 승리를 약속 받은 이스라엘 백성들은 바산과의 전쟁에서 하나의 성읍도 남김 없이 모두 다 빼앗는 대승을 얻게 됩니다. 특별히 이스라엘 백성은 이 전쟁 가운데서도 모든 바산 사람을 하나도 남김없이 진멸 했습니다. 이는 이스라엘과 바산의 싸움이 일반적인 전쟁이 아니라, 바산의 죄악을 심판하는 전쟁이었기 때문 입니다. 또한 이스라엘 백성들은 모든 적군을 진멸함으로써 이 전쟁을 하나님께 바쳤습니다.
이와 같이 오늘 본문 속 이스라엘 백성들은 두려운 적군을 앞두고도 하나님의 말씀에 의지하여 전쟁에 참여하여 큰 승리를 얻게 되었습니다. 이 장면은 40년 전 가나안 족속을 두려워하여 전쟁을 포기하고 도망치려 했던 출애굽 1세대의 모습과 대조 됩니다. 그들은 하나님께서 가나안 땅을 주시겠다는 약속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두려움에 휩싸여 가나안과의 전쟁을 포기 했습니다. 만일 출애굽 1세대가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였더라면, 하나님께서 그들로 하여금 순조롭게 젖과 꿀이 흐르는 가나안 땅을 얻게 하셨을 것입니다.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사람은 그 어떤 것도 두려워할 필요가 없습니다.
하나님의 백성인 그리스도인이 이 세상에서 두려워할 것은 오직 하나님 한 분 밖에는 없습니다. 우리가 주님의 뜻과 말씀대로 살아간다면, 그 어떤 장애물도 하나님은 뛰어넘게 하시고, 어떤 상황과 환경도 능히 극복하게 하십니다. 오늘 이 말씀을 듣고 계신 성도 여러분, 저를 한 번 따라해 주시겠습니까? “순종하면 승리한다” 한 번만 더 따라해 주십시오. “순종하면 승리한다.” 네 맞습니다. 우리 그리스도인의 삶은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할 때 승리하는 삶을 살 수 있습니다. 이스라엘이 정복한 헤스본 왕 시혼이나, 바산 왕 옥은 둘다 전쟁에 능한 적군이었고, 견고한 성읍을 자랑하는 사람들이었습니다. 그 누구도 이스라엘이 둘을 상대해서 이길 것이라고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게다가 이들을 상대한 출애굽 2세 이스라엘 백성들은 전쟁 경험도 전무한 풋내기 병사들이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께서 적군을 그들의 손에 붙이시겠다는 약속을 주시니, 이들은 용기를 내었고,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여 전쟁에서 승리하였습니다.
오늘 본문 8-11절까지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차지한 땅의 경계를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이 경계들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들이 오직 여호와 하나님께서 주시기로 약속하신 헤스본과 바산 땅만 차지하고, 그 이상을 넘보지 않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스라엘은 하나님께서 금지하신 에돔, 모압, 암몬 족속의 땅은 한 평도 차지하지 않았습니다. 이스라엘이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여 상대했던 적군들은 키고 크고 힘도 센 사람들이었습니다. 11절을 보면 바산 왕 옥이 사용하던 침대의 사이즈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11절에 보면 ‘그 장이 아홉 규빗이고 광이 네 규빗이라’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것을 오늘날 크기로 환산해 보면 침대 사이즈가 길이가 약 4미터, 넓이가 약 2미터 입니다. 침대 길이가 4미터라는 것은 이곳에 아낙 자손과 같이 키가 큰 장대한 사람들이 살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멀리서도 한 눈에 보일 만큼 키와 덩치가 큰 적들과 싸워야 했던 이스라엘 백성들은 얼마나 두려웠겠습니까? 이스라엘 백성이 두려움에 처한 것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들은 하나님의 약속을 믿고 두려움을 이겨냈습니다. 그리고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여 전쟁에 참여하여 완전한 승리를 일구어 냈습니다. 말씀에 순종하는 하나님의 백성은 제 아무리 강한 군대라 해도 막아낼 수 없는 법입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아무리 세상이 강해도 하나님의 말씀대로 살아가는 그리스도인을 막을 수 없습니다. 우리들도 이스라엘 백성들처럼 두려움에 빠질 때가 얼마나 많습니까? 그러나 하나님의 백성이 말씀에 순종하여 살아간다면 그 어떤 것도 두려워할 필요가 없습니다. 순종하면 승리합니다. 이 단순한 믿음의 원리를 꼭 기억하시고, 오늘도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함으로 승리하는 복된 하루가 되시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축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