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2:26) 내가 그데못 광야에서 헤스본 왕 시혼에게 사자를 보내어 평화의 말로 이르기를
(신 2:27) 나를 네 땅으로 통과하게 하라 내가 대로로만 행하고 좌로나 우로나 치우치지 아니하리라
(신 2:28) 너는 돈을 받고 양식을 팔아 나로 먹게 하고 돈을 받고 물을 주어 나로 마시게 하라 나는 도보로 지날 뿐인즉
(신 2:29) 세일에 거하는 에서 자손과 아르에 거하는 모압 사람이 내게 행한 것 같이 하라 그리하면 내가 요단을 건너서 우리 하나님 여호와께서 우리에게 주시는 땅에 이르리라 하나
(신 2:30) 헤스본 왕 시혼이 우리의 통과하기를 허락지 아니하였으니 이는 너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그를 네 손에 붙이시려고 그 성품을 완강케 하셨고 그 마음을 강퍅케 하셨음이라 오늘날과 같으니라
(신 2:31) 때에 여호와께서 내게 이르시되 내가 비로소 시혼과 그 땅을 네게 붙이노니 너는 이제부터 그 땅을 얻어서 기업으로 삼으라 하시더니
(신 2:32) 시혼이 그 모든 백성을 거느리고 나와서 우리를 대적하여 야하스에서 싸울 때에
(신 2:33) 우리 하나님 여호와께서 그를 우리에게 붙이시매 우리가 그와 그 아들들과 그 모든 백성을 쳤고
(신 2:34) 그 때에 우리가 그 모든 성읍을 취하고 그 각 성읍을 그 남녀와 유아와 함께 하나도 남기지 아니하고 진멸하였고
(신 2:35) 오직 그 육축과 성읍에서 탈취한 것은 우리의 소유로 삼았으며
(신 2:36) 우리 하나님 여호와께서 그 모든 땅을 우리에게 붙이심으로 아르논 골짜기 가에 있는 아로엘과 골짜기 가운데 있는 성읍으로부터 길르앗에까지 우리가 모든 높은 성읍을 취하지 못한 것이 하나도 없었으나
(신 2:37) 오직 암몬 족속의 땅 얍복강 가와 산지에 있는 성읍들과 무릇 우리 하나님 여호와께서 우리의 가기를 금하신 곳은 네가 가까이 하지 못하였느니라
모세와 함께 가나안 땅으로 향하는 출애굽 2세 이스라엘 백성들은 헤스본 왕 시혼의 땅을 지나가야 했습니다. 이에 모세는 헤스본 왕 시혼에게 평화의 사절단을 보내, 이스라엘 백성이 그 땅을 평화롭게 통과할 수 있도록 허락해 달라 요구 합니다. 27절 말씀을 보면, 모세는 이스라엘 백성이 좌로나 우로나 치우치지 않고 ‘대로’로만 통과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즉 이스라엘은 어떤 싸움도 원치 않으며, 또한 그들에게 어떤 피해도 주지 않고 이 땅을 평화롭게 통과하기를 원한다는 의사를 표시한 것이죠. 심지어 물이나 양식도 훔쳐 먹지 않고, 그들에게 돈을 주어 사 먹겠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시혼은 이러한 ‘평화의 제안’을 거부하고, 이스라엘 백성이 헤스본 땅을 지나가는 것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30절 말씀을 보면, 이 모든 것이 하나님께로부터 나온 것이라고 성경은 말씀하고 있습니다. 즉, 하나님께서 헤스본을 이스라엘에게 주시고자 시혼 왕의 ‘성품을 완강케’ 하신 것입니다. 이는 모세가 애굽의 바로에게 출애굽을 요청할 때 하나님께서 바로의 마음을 완고하게 하셨던 것과 같습니다. 우리는 이와 같이 이방민족의 왕들의 마음까지 다스리시는 하나님의 모습을 보며, 우리 여호와 하나님은 이스라엘뿐만 아니라 온 세상의 주인 되심을 깨달을 수 있습니다.
시혼 왕이 완고하게 거절하자, 이에 하나님은 31절에 모세에게 비로소 시혼과 그 땅을 차지하라고 명령하셨습니다. 31절 입니다. “(신 2:31) 때에 여호와께서 내게 이르시되 내가 비로소 시혼과 그 땅을 네게 붙이노니 너는 이제부터 그 땅을 얻어서 기업으로 삼으라 하시더니” 본래 평화롭게 이 땅을 지나가려 했던 이스라엘 백성들은 헤스본과 전쟁을 치르게 됩니다. 그리고 이 전쟁은 이스라엘의 대승으로 끝이 나게 됩니다. 모세는 이스라엘이 전쟁에서 승리한 이유가 자신들의 강한 전투력이나 뛰어난 전략 때문이 아니라, 바로 여호와 하나님의 도우심 때문이었음을 밝히 말하고 있습니다. 33절을 봅시다. “(신 2:33) 우리 하나님 여호와께서 그를 우리에게 붙이시매 우리가 그와 그 아들들과 그 모든 백성을 쳤고” 여기서 ‘여호와께서 그를 우리에게 붙이시매’란 말은 ‘그를 우리에게 넘기시다’란 말과 같습니다. 즉 하나님께서 헤스본 왕 시혼의 목숨을 이스라엘의 손에 쥐어 주신 것입니다. 사실 이 전쟁에서 여호수아와 갈렙을 제외한 출애굽 2세는 아직 전쟁 경험이 전무한 것이나 다름이 없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혼과 그의 막강한 헤스본 군사들을 이긴 것은 전적으로 하나님의 도우심이라고 볼 수 밖에 없습니다.
전쟁의 승리는 병사와 병기의 숫자가 많다고 이기는 것이 아닙니다. 전쟁은 하나님께서 주관하십니다. 하나님이 도우시면 승리하고, 힘이 약한 자일지라도 하나님께서 함께하시면 강한 자를 제압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성경이 말하는 공공연한 비밀 입니다. 우리의 삶 역시 마찬가지 입니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도와주시면 승리하는 삶을 살게 됩니다. 하나님께서 함께하시면 불가능해 보이는 일들도 능히 감당할 수 있습니다.
헤스본과의 전쟁에서 이스라엘 백성들은 적군의 모든 이들을 하나도 남김없이 진멸 하였습니다. 34절 말씀을 봅시다. “(신 2:34) 그 때에 우리가 그 모든 성읍을 취하고 그 각 성읍을 그 남녀와 유아와 함께 하나도 남기지 아니하고 진멸하였고” 이와 같이 성읍의 단 한 사람도 남김없이 죽인 것은 이 전쟁을 하나님께 제물로 바친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34절 마지막 단어로 쓰인 ‘진멸하다’는 것이 히브리어로 ‘헤렘’입니다. 이와 같이 모든 적군을 진멸하는 헤렘 전쟁은 여리고성 정복 때도 동일하게 나타납니다. 구약 시대에는 노예제도가 있었습니다. 고대 사회는 전쟁에서 패배한 백성들을 노예로 삼는 경우가 일반이었습니다. 따라서 이스라엘 백성이 헤스본과의 전투에서 승리한 후 적국을 노예로 삼았다면 더 엄청난 이득을 취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들은 헤스본과의 전쟁을 하나님께 바치는 제물로 여기고, 헤렘 전쟁 즉 모든 적군을 진멸하는 전쟁을 치루었던 것입니다. 이것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자신들이 싸우는 이유가 어떤 물자적 이익을 남기기 위한 것이 아니라, 여호와 하나님 뜻에 순종하는 것임을 나타내는 순종의 표시였습니다.
36절 말씀을 보면, 모세는 강적 헤스본을 무너뜨린 이스라엘 백성들이 승승장구하여 마음만 먹으면, 근처 다른 족속들의 모든 성읍들도 취할 수 있었다고 회상하고 있습니다. 36절 말씀을 봅시다. “(신 2:36) 우리 하나님 여호와께서 그 모든 땅을 우리에게 붙이심으로 아르논 골짜기 가에 있는 아로엘과 골짜기 가운데 있는 성읍으로부터 길르앗에까지 우리가 모든 높은 성읍을 취하지 못한 것이 하나도 없었으나” ‘높은 성읍’이란 싸우기 힘든 상대를 의미합니다. 그러나 강적 헤스본과의 전쟁에서 승리한 이스라엘 백성에게 싸워서 이기지 못할 상대가 없는 것처럼 느껴졌습니다. 모세와 이스라엘 백성들은 이처럼 거칠 것 없이 승승장구 했습니다만, 이들은 그 모든 것이 하나님께서 이방 족속들에게 기업으로 주신 땅임을 인정하고 조금도 넘보지 않았습니다. 37절 말씀 입니다. “(신 2:37) 오직 암몬 족속의 땅 얍복강 가와 산지에 있는 성읍들과 무릇 우리 하나님 여호와께서 우리의 가기를 금하신 곳은 네가 가까이 하지 못하였느니라” 모세가 뭐라고 말하고 있습니까? “우리 하나님 여호와께서 우리의 가기를 금하신 곳은 네가 가까이 하지 못하였느니라”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께서 허락하지 않으신 것은 결코 넘보지 않았던 것입니다.
이 당시 이스라엘이라면 에돔, 모압, 암몬과 전쟁하여 얼마든지 승리하고 그들의 땅을 차지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들은 그것이 하나님의 뜻이 아니라는 것을 알기에 조금도 그 땅을 넘보지 않았던 것입니다. 그리고 오히려 싸우기 힘든 대상인 헤스본과의 전쟁을 하나님의 도우심으로 승리하였습니다. 이처럼 하나님의 백성은 더 많은 가지기 위해 집착하지 말고, 주님께서 우리 삶에 주시는 것에 자족할 줄 알고, 감사하며 살아가야 합니다. 하나님은 우리에게 모든 것을 허락하시지 않지만, 여전히 우리 삶에 많은 것들을 채워 주시고, 우리는 얼마든지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것들을 감사하며 누릴 수 있습니다.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오늘 본문 속 이스라엘 백성들은 자족하는 마음을 가지고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였습니다. 그 결과 이들은 하나님의 도우심을 받아 강적 헤스본을 물리치고 그들의 땅까지 차지했습니다. 우리들도 하나님께서 우리 삶 속에 허락하신 축복에 넉넉한 마음과 자족한 태도를 가지고 감사하며,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여 살아가는 복된 삶, 승리하는 삶이 되시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축복합니다.